Elastic Beanstalk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인프라에 대한 염려 없이 AWS 클라우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배포 및 관리할 수 있다. 선택 또는 제어에 대한 제약 없이 Elastic Beanstalk의 관리 복잡성이 줄어든다. 애플리케이션을 업로드하기만 하면 Elastic Beanstalk에서 용량 프로비저닝, 로드 밸런싱, 조정, 애플리케이션 상태 모니터링에 대한 세부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RoR 프로젝트를 elastic beanstalk에 배포해 볼 것이다.
그전에 배포할 프로젝트의 Ruby 버전은 2.6.5, Rails 버전은 5.2.4를 사용하고 있다.
elastic beanstalk는 두가지 방법으로 배포할 수 있지만, 해당 게시글에서는 EB CLI를 이용하여 배포할 것이다.
EB CLI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먼저 설치를 진행하고 오자.
EB CLI 설치하기
https://docs.aws.amazon.com/ko_kr/elasticbeanstalk/latest/dg/eb-cli3-install.html
EB CLI 설치 - AWS Elastic Beanstalk
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
docs.aws.amazon.com
EB CLI가 설치되어 있다면 본격적으로 배포를 진행해보자.
먼저 instance를 배포할 application을 생성하자.
배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의 console 창에서 eb init 명령어를 실행시키자.
그럼 먼저 배포하고자 할 서비스의 region을 선택하라고 할 것이다. 10을 선택하자.
다음으로 사용할 application을 선택하라고 할 것이다, 만약 기존에 사용하던 application에 instance를 생성할 것이면 기존 application을 선택하면 되고, 새로운 applicaiton에 배포하고 싶으면 새롭게 생성해주면 된다.
지금은 새로운 applicaiton을 생성해서 진행하겠다.
그 다음으로 만들고자 하는 applicaiton의 이름을 입력해주자.
원하는 application 이름을 입력하고 나면, Ruby를 사용할 것인지 물어볼 것인데, 우리는 현재 ruby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Y를 입력하면 된다. 그러면 ruby 버전을 선택하라고 할 것이다. 현재 프로젝트는 루비 버전 2.6.5와 Puma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2번을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codeCommit은 이용하지 않고 SSH는 앞으로 이용할 일이 있으므로 각각 다음 질문에 N, Y를 입력해주자.
다음으로 keypair를 선택하라고 할 것이다. 이것 또한 마찬가지로 새로 생성하겠다.
이 작업을 모두 끝마치면 새로운 application환경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war파일 배포하기 (0) | 2019.05.18 |
---|---|
AWS - 데이터 베이스 서버 구축 (0) | 2019.05.18 |
AWS - 리눅스 서버에 Tomcat 설치 (0) | 2019.05.16 |
AWS - 리눅스 서버 구축 (0) | 2019.05.16 |
AWS - Storage(파일 업로드) (0) | 2019.05.15 |